안녕하세요! 꼭 필요한 복지 정보만 쉽게 알려주는 하이복지입니다.
오늘은 폭력피해여성 주거지원 사업에 대하여 알려드리려 하는데요.
천천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폭력피해여성 주거지원 사업 요약
복지로에서 안내하는 ‘가정폭력피해여성 주거지원’은 폭력으로부터 분리·보호가 필요한 여성에게 임시보호시설, 주거 연계(공공임대 우선 배정 등), 주거비 지원, 상담·사후관리 등을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제도예요. 신청은 1366, 해바라기센터, 지자체(여성가족과·폭력피해상담소) 등을 통해 상담 후 진행되며, 피해 사실 확인과 기본 신분 서류가 필요해요. 긴급 상황일수록 우선 보호·임시 주거가 먼저 배정되고, 이후 중장기 주거로 연결됩니다.
지금부터 좀 더 자세하게 하나씩 안내 드릴게요.
폭력피해여성 주거지원 사업이란?
폭력피해여성 주거지원 목적
폭력으로부터 안전하게 분리(보호)하고 안정적으로 재기할 수 있도록 주거·상담·법률·자립을 통합 지원을 목적으로 합니다.
주요 지원 내용
임시보호: 긴급 쉼터, 보호시설 입소 및 안전 확보
주거연계: 공공임대주택 우선 배정 연계, 전환기 주거(한시적 거처) 연결
주거비/생활안정: 상황에 따라 보증금·이사비·생활안정자금 등 타 제도와 연계
상담·법률·사후관리: 사례관리, 심리·법률 지원, 자립 프로그램
폭력피해여성 주거지원 신청 대상(자격)
1. 가정폭력으로 신체·정서·성·경제적 피해를 입었거나 위험에 노출된 여성
2. 동반 아동/가족이 있는 경우 함께 보호 연계 가능
3. 소득·재산 기준은 지원 항목별로 상이하며, 임대주택 연계 시 공공임대 기준을 따를 수 있어요
4. 긴급 상황(신변 위협 등)일수록 임시보호·긴급주거 우선
폭력피해여성 주거지원 신청 절차
1단계: 1366(여성긴급전화) 또는 해바라기센터/지자체(여성가족과)/가정폭력상담소에 연락
2단계: 1차 상담 및 위기판정 → 긴급 시 임시보호시설 즉시 연계
3단계: 피해 사실 확인 및 사례회의 → 주거 유형(임시·중장기) 설계
4단계: 공공임대·전환기 주거·주거비 등 맞춤 연계
5단계: 사후관리(상담·법률·자립 프로그램) 및 주거 유지 지원
바로 도움을 청할 곳
1. 여성긴급전화 1366: 24시간 상담·피난처 연계
2. 경찰 112: 생명·신체 위협이 있으면 즉시
3. 해바라기센터: 의료·법률·심리지원 원스톱
4. 가까운 시·군·구청 여성가족과, 가정폭력상담소
폭력피해여성 주거지원 신청 필요서류
신청 시, 신청기관에서 요구하는 서류는 상황별로 상이할 수 있습니다!
공통: 신분증(또는 가족관계 확인서류), 주민등록등본(또는 초본)
피해 확인: 상담소 확인서, 진단서/진술서, 경찰 신고·처분서류(있는 경우)
주거·소득: 임대차 관련 서류, 소득·재산 증빙(임대연계·주거비 지원 시)
추가: 동반 아동 관련 서류(가족관계증명서 등)
지원내용 및 비용
1. 임시보호는 단기 중심(위기 안정까지), 이후 중장기 주거로 연계
2. 공공임대 연계 시 통상 임대 유형별 계약·임대료 기준 적용
3. 주거비·이사비 등은 지자체·연계사업 예산 범위 내 지원(지자체별 상이)
4. 본인 부담은 유형에 따라 달라서 상담 시 개별 안내를 받는 것이 정확합니다
신청 전 알아두면 좋을 꿀팁
1. 증거 확보: 진단서, 상해 사진, 통화녹취, 문자·메신저 캡처 등 안전한 방식으로 기록해 두세요
2. 주민등록 열람제한: 가해자의 주소지 열람을 막는 제도가 있으니 상담 시 꼭 문의
3. 번호 변경/긴급통신지원: 통신사 긴급 변경, 스팸·위치 공유 설정 등 디지털 안전도 병행
4. 긴급복지 연계: 생계·의료·주거 위기 시 ‘긴급복지’ 동시 검토하면 속도와 실익↑
5. 법률 지원: 접근금지·임시조치 등 보호명령 병행 시 주거 안정성에 도움
6. 아이 동반 시: 학교 전학·돌봄 연계까지 한 번에 상담 요청
폭력피해여성 주거지원 관련 질문(FAQ)
Q1. 당장 갈 곳이 없어요. 오늘도 가능할까요?
A. 가능해요. 1366 또는 112를 통해 즉시 임시보호시설 연계가 우선 진행됩니다.
Q2. 공공임대는 꼭 배정되나요?
A. 우선 연계 노력은 하지만 물량·자격 기준이 있어요. 사례회의를 통해 가장 적합한 대안을 함께 찾습니다.
Q3. 신분증이 없어요. 그래도 상담이 되나요?
A. 가능합니다. 신원 확인은 이후 보완 가능하며, 위기 시 보호가 먼저예요.
Q4. 가해자가 추적할까 걱정돼요.
A. 비공개 입소, 주소 비공개, 열람제한, 보호명령 등 다층적 안전장치를 함께 설계합니다.
알리고, 보호받는 것이 우선!
폭력은 절대 ‘참아야 할 일’이 아니에요. 보호가 먼저이고, 제도는 이미 준비되어 있어요.
연락하는 순간부터 삶이 달라집니다. 지금 이 글을 보신다면, 혹은 주변에 도움이 필요하신 분이 계시다면 오늘 바로 1366에 전화해 주세요. 안전한 집, 다시 시작할 수 있습니다. 모두가 당신을 응원합니다.
* 근거 법령 :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